여러 사이트에서 보고 내가 이해한 내용.
암호화 알고리즘.
1. 대칭키 방식
- 암호화, 복호화 시 동일한 key 를 사용한다.
- 암호화 하는 주체와 복호화 하는 주체가 동일한 key 를 알아야 한다.
- key 잘 전달해야 함. 이 과정에서 유출 될 수 있음.
- DES, 3-DES, AES
2. 비대칭키 방식(공개키 방식)
- private key, public key 를 각각 가지고 있음.
- private key 로 암호하면 public key 로 복호화 할 수 있고, 그 반대도 가능하다.
- 상대방에서 내 public key 를 알려준다.
- 상대방에서 data 를 보낼때는 상대방의 public key 로 암호화 해서 보낸다.
- data 를 받으면 내 private key 로 복호화 한다.
- 중간에 다른 사람이 가로채도 private key 를 모르기 때문에 복호화 할 수 없다.
- 암호화, 복호화 시 많은 computing power 가 필요하다.
- RSA, DSA
SSL(Secure Socket Layer)
- 공개키 방식으로 대칭키를 전달 후 data 를 주고 받을 때에는 대칭키 방식으로 암호화 해서 전달한다.
- 대칭키 노출의 위험이 없고, computing 비용도 줄일 수 있음.
CA(Certificate Authority) : 인증서 발급 기관.
- 특정 사이트에서 사이트 정보와 public key 를 알려주면 CA 에서 검증 후 사이트 정보와 public key 를 CA 의 private key 로 암호화 하여 인증서를 발급한다.
HTTPS
- Client 가 Server 에 접속 요청.
- Server 는 인증서를 Client 에게 전달.
- 인증기관(CA)의 공개키(브라우저 내장)로 인증서를 검증. Server 의 공개키를 획득.
- Client 는 Server 의 공개키로 대칭키를 암호화 하여 Server 에 전달.
- Server 는 자신의 개인키로 복호화 하여 대칭키를 획득.
PS. 암호화 X.
MD5 - 해쉬 알고리즘 - 암호화 알고리즘이 아니라 digest code를 생성해 내는 것.
BASE64 - 텍스트 인코딩 - 바이너리를 텍스트 아스키 코드로 인코딩.
도움을 받은 sites.
- http://jne-sw.tistory.com/321
- http://modoris.blogspot.kr/2011/11/blog-post_08.html
- http://mohwaproject.tistory.com/entry/SSL-%EB%8F%99%EC%9E%91%EC%9B%90%EB%A6%AC
- 이 외 다수.
'Tip & Tech > 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uthentication vs authorization .. (0) | 2018.08.21 |
---|---|
OSI 7 Layer - network (0) | 2015.08.13 |
iptime N604R 공유기에 vpn 기능 추가하기. (2) | 2015.05.12 |
제로보드 백업 (0) | 2014.03.24 |
유용한 사이트 모음 (0) | 2014.03.24 |